티스토리 뷰

반응형

※ 해당 주식은 작성자가 보유(예정)하고 있는 주식으로서, 학습 및 투자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자료임을 밝힙니다.

오클로(Oklo)은 에너지 섹터에서 원자력 발전 기술의 일종인 SMR 개발을 진행 중인 회사이며, 현재 Open AI가 2.6% 가량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한 회사이다.
https://www.theglobeandmail.com/investing/markets/stocks/OKLO/pressreleases/30299258/this-sam-altman-backed-nuclear-power-stock-just-got-a-big-boost/

 

Oklo Inc (OKLO-N) Quote - Press Release

Detailed price information for Oklo Inc (OKLO-N) from The Globe and Mail including charting and trades.

www.theglobeandmail.com

 
현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주된 사업으로는 원자력 발전(SMR)과 핵 폐기물 재활용에 대해 연구개발 및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관련된 경쟁사로는 뉴스케일 파워(티커 : SMR), 테라파워(비상장) 등이 있다. 


목차

1. 서론

2. 재무 및 기본 Data 분석

3. 산업 분석

4. 경쟁사 대비 분석

5. 결론




1. 서론

SMR에 관심 갖게 된 계기는, AI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이 많아질 것으로 전망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훈련을 통해 추론을 도출해내는 머신러닝 및 딥러닝 중 간단한 경우만 하더라도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욱 많은 데이터를 소모한다.
 
추가로, 포브스지에 따르면 2024년 8TWh에 불과한 AI 관련 에너지 사용량이 2030년엔 652TWh로 치솟을 것이라는 데이터 등을 보며 현 사회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보다 더 많은 에너지에 대한 니즈가 생길 것이라고 전망한다. 

※ 자료 : https://www.forbes.com/sites/bethkindig/2024/06/20/ai-power-consumption-rapidly-becoming-mission-critical/

 
현실적으로 완벽한 청정 에너지는 없는 것이 자명한 현 시점에서, 에너지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풍력/수력/지력 등의 발전보다는 리스크 관리가 된다는 가정 하에 가장 많은 에너지를 단기간에 발생시킬 수 있는 원자력이 매력적인 투자처라고 판단했다.
그리고 오클로의 가장 큰 특징인 도시나 거점에 바로 지을 수 있는 원전이라는 것이 굉장한 매력으로 다가온다. 왜냐하면
송전 거리가 멀수록 전력 손실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191009068300003

 

"전력 수송중 5년간 날아간 돈 8조원…3년째 증가추세"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최근 5년간 전력 수송 중 발생한 손실액이 8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www.yna.co.kr

 
 
 
마지막으로 현재 대세이며 저전력으로 고성능을 낼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는 양자컴퓨팅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만큼 만능도 아닐 뿐더러 상온 초전도체가 발견되지 않는 이상 보급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관련 :
1) https://www.forbes.com/sites/bernardmarr/2023/08/23/debunking-the-top-5-quantum-computing-myths/
2) 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4/12/27/C32UL2RZTFF6XBKI3WP2OQO2GU/

 

샘 올트먼·빌 게이츠·제프 베이조스까지, 원전에 올인하는 IT 거물들

샘 올트먼·빌 게이츠·제프 베이조스까지, 원전에 올인하는 IT 거물들 샘 올트먼, 원전 회사 오클로 창업 빌 게이츠는 2008년에 SMR 회사 설립 제프 베이조스 역시 10년 이상 핵융합에 투자

biz.chosun.com

 
 
현 상황에서 양자컴퓨팅에 대한 거품이 가라앉은 후 주목 받을 것은 에너지 개발일 것이라 생각하였고, 그 중 실생활에 상업적으로 AI를 가장 잘 침투시킨 기업 중 하나인 OpenAI에서 소액이나마 투자한 오클로(Oklo)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어 분석해보도록 한다.
 




2. 재무 및 기본 Data 분석

2-1. 기본 정보

CEO : Jacob Dewitte
            (MIT 박사 출신/관련 업종 15년 이상 종사 중)
직원수 : 78(2023년 12월 기준, 6개월 당 28% 증가 중이라 현 상황은 약 128명 예상)
※ MIT 약 10~12명 재직 중
(출처 : https://stockanalysis.com/stocks/oklo/employees/)
상장일 : 2024. 5. 10. (특수 목적 인수 회사와 합병하여 상장됨)
(출처 :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altc-acquisition-corp-stockholders-approve-business-combination-with-oklo-302138831.html )
 

2-2. 재무 정보

OKLO의 현재 재무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B/S

Fiscal Quarter Q3 2024 Q2 2024 Q1 2024 Q4 2023
Cash & Equivalents 91.800 105.68 38.02 9.87
Short-Term Investments 139.650 129.61 - -
Accounts Receivable - 1.12 - -
Other Receivables 1.170 0.19 0.2 0.13
Prepaid Expenses 2.080 2.47 0.57 0.37
Other Current Assets 0.130 0.15 5 3.83
Total Current Assets 234.83 239.22 43.78 14.2
Property, Plant & Equipment 1.770 0.68 0.66 0.66
Long-Term Investments 57.080 59.29 - -
Other Long-Term Assets 0.120 - - 0.03
Total Assets 293.79 299.19 44.44 14.88
Accounts Payable 0.36 1.07 2.5 2.27
Accrued Expenses 3.4 3.11 1.04 0.68
Current Portion of Leases 0.47 0.04 0.04 0.09
Current Income Taxes Payable 0.39 0.51 - -
Other Current Liabilities 0.23 0.15 0.07 0.16
Total Current Liabilities 4.85 4.88 3.65 3.2
Long-Term Debt - - 73.07 46.04
Long-Term Leases 0.67 - - -
Other Long-Term Liabilities 25 25 25 -
Total Liabilities 30.52 29.88 101.72 49.25
Total Preferred Equity - - 25.03 25.03
Common Stock 0.01 0.01 0 0
Additional Paid-In Capital 385.36 383.74 3.21 2.1
Retained Earnings -124.82 -114.86 -85.52 -61.49
Comprehensive Income & Other 2.72 0.42 - -
Total Common Equity 263.28 269.31 -82.31 -59.39
Shareholders' Equity 263.28 269.31 -57.28 -34.36
Total Liabilities & Equity 293.79 299.19 44.44 14.88
Total Debt 1.14 0.04 73.1 46.14
Net Cash (Debt) 230.31 235.25 -35.09 -36.27
Net Cash Per Share 1.89 2.35 -7 -7.56
Filing Date Shares Outstanding 122.1 122.1 122.1 4.84
Total Common Shares Outstanding 122.1 122.1 5.06 4.84
Working Capital 229.98 234.34 40.13 10.99
Book Value Per Share 2.16 2.21 -16.27 -12.28
Tangible Book Value 263.28 269.31 -82.31 -59.39
Tangible Book Value Per Share 2.16 2.21 -16.27 -12.28
Machinery 0.46 0.35 0.35 0.26

 
사실 현재 상황에서 OKLO의 재무재표를 분석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2024년 5월을 기점으로 스펙상장을 하는 과정에서 자산 자체는 늘었지만, 대부분 재무부증권(Long-Term Investments)이나 유가증권(Short-Term Investments)에 들어가있다. 추가로  Property, Plant & Equipment 를 보면 유의미하게 장비/설비에 대해 투자를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무실 리스(상업용 부동산 서브리스 계약)로 인한 비용이다.

 
 
2. I/S

Fiscal Quarter Q3 2024 Q2 2024 Q1 2024 Q4 2023 Q3 2023 Q2 2023 Q1 2023
Selling, General & Admin 7.32 7.13 3.78 3.07 2.99 1.56 1.47
Total Operating Expenses 12.28 17.77 7.37 7.28 4.66 3.35 3.34
Operating Income -12.28 -17.77 -7.37 -7.28 -4.66 -3.35 -3.34
Interest Income 2.55 1.72 0.14 0.1 0.08 0 0
Net Interest Expense 2.55 1.72 0.14 0.1 0.08 0 0
Other Non-Operating Income (Expenses) - -13.13 -16.79 -7.14 -4.08 -1.12 -1.37
EBT Excluding Unusual Items -9.73 -29.18 -24.02 -14.32 -8.67 -4.47 -4.71
Pretax Income -9.73 -29.18 -24.02 -14.32 -8.67 -4.47 -4.71
Income Tax Expense 0.22 0.16 - - - - -
Net Income -9.96 -29.35 -24.02 -14.32 -8.67 -4.47 -4.71
Preferred Dividends & Other Adjustments - 487.93 - - - - -
Net Income to Common -9.96 -517.28 -24.02 -14.32 -8.67 -4.47 -4.71
Shares Outstanding (Basic) 122 100 5 5 68 69 5
Shares Outstanding (Diluted) 122 100 5 5 68 69 5
Shares Change (YoY) 78.43% 45.28% 5.11% 2.70% 1377.71% 1386.66% 3.03%
EPS (Basic) -0.08 -5.17 -4.79 -2.99 -0.13 -0.06 -0.99
EPS (Diluted) -0.08 -5.17 -4.79 -2.99 -0.13 -0.06 -0.99
Free Cash Flow -7.99 -9.83 -7.38 -5.65 -3.59 -3.58 -3.26
Free Cash Flow Per Share -0.07 -0.1 -1.47 -1.18 -0.05 -0.05 -0.68
EBITDA -12.21 -17.71 -7.32 -7.24 -4.65 -3.34 -3.33
D&A For EBITDA 0.07 0.06 0.05 0.04 0.01 0.01 0.01
EBIT -12.28 -17.77 -7.37 -7.28 -4.66 -3.35 -3.34

그나마 고무적인 것은, 자금 조달이 원활해지면서 연구개발비 항목(Total Operating Expenses의 일부)이  2024년 3Q 기준 $170만에서 2023년 동분기 $504만으로 약 2.95배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링크드인의 직원 상승분을 미루어 보았을 때, 인력 증원 중으로 보인다.
 

Period 2024 3Q 2023 3Q 2024 1~3Q 2023 1~3Q
Research and development 5,049,070 1,707,457 19,428,854 5,457,176
General and administrative 7,232,018 2,956,338 17,993,599 5,895,883
Total operating expenses 12,281,088 4,663,795 37,422,453 11,353,059

 
3. C/F
현금흐름의 경우 1에 기술한 증권 및 상장으로 인해 발생한 현금흐름이 대부분이라 생략한다.
 
∴ 재무정보 및 감사보고서 상에서는 유의미한 현황을 찾아보기 어렵다. 사실 매출이 발생하지 않은 신생 기업이기 때문에 해당 부분은 지속적으로 예의주시해야 한다. 

 



3. 산업 분석

 

3-1. 각 세대별 원자력 발전소 동향

현재 전 세계에는 약 400여 개의 원자력 발전소가 가동되고 있으며, 세대별로 차이가 있다.
 

원자력 발전소 세대별 차이

가. 1세대 원자력 발전소
   1. 시기: 1950~1960년대
   2. 특징:
       1) 최초의 상업용 원자력 발전소
       2) 실험적이고 소규모 설계
       3) 안전성과 경제성이 낮음
       4) 약 30년의 수명★
 
나. 2세대 원자력 발전소
   1. 시기: 1970~1990년대
   2. 특징:
       1) 1세대 기술을 기반으로 안전성과 경제성 개선
       2) 현재 대부분의 원자력 발전소가 2세대 기술 사용
       3) 가압경수로(PWR)와 비등경수로(BWR)가 대표적
       4) 약 40년의 수명★
 
다. 3세대 원자력 발전소
   1. 시기: 1990년대 후반~
   2. 특징:
       1) 2세대 대비 안전성과 경제성 추가 개선
       2) 피동형 안전 시스템 도입 (외부 전원 없이도 안전 유지 가능)
       3) 설계 표준화로 건설 시간 단축
       4) 약 60년의 수명★
 
라. 3.5세대(혹은 3+) 원자력 발전소(SMR 방식 시작)
   1. 시기: 2010년대~
   2. 특징:
       1) 3세대 기술을 기반으로 추가 개선
       2) 더 높은 안전성과 경제성, 모듈화 설계
       3) 기존 화력 발전소 부지 재활용 가능
 
마. 4세대 원자력 발전소
   1. 시기: 2030년대~ (개발 중)
   2. 특징:
       1) 차세대 원자로로, 안전성, 경제성, 핵연료 활용도 측면에서 혁신적
       2)  고온가스로, 소듐냉각고속로, 용융염로 등 다양한 기술 적용
       3) 핵폐기물 감소 및 핵비확산성 강화

세대별 주요 차이 요약
안전성: 1세대 < 2세대 < 3세대 < 3.5세대 < 4세대 (점점 더 안전해짐)
경제성: 1세대 < 2세대 < 3세대 < 3.5세대 < 4세대 (점점 더 경제적)
핵연료 활용도: 1세대 < 2세대 < 3세대 < 3.5세대 < 4세대 (점점 더 효율적)
핵폐기물 문제: 4세대는 핵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재활용 가능

출처 : 한전원자력원료 - 원자력발전의역사

 

원자력 발전소 동향

아래의 동향 자료 1을 보면, 2023년 말 기준으로 PWR(대부분이 2세대 가압수형원자로 방식) 원자력 발전소가 304개있으며, 동향 자료 2에 따르면 50개가 추가로 지어질 예정이다.
 

동향 자료 1 / 출처 : IAEA 2024 보고서
동향 자료 2 / 출처 : IAEA 2024 보고서

PWR(가압수형원자로 방식)이 대세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조금 PWR도 상황에 따라 1~3세대가 있으므로 조금 더 디테일한 자료가 필요하다고 판단이 들었다.
 
 
 
더욱 확실한 분석을 하기 위해 IAEA 2024년 보고서의 국가별 원자로 자료(자료 상 TABLE 14)를 가공(1세대~4세대 구분/수명 입력[1세대 : 30/ 2세대 : 40/ 3세대 : 60년, 위키피디아 등 자료 참고])해서 세대별, 국가별 원자로 현황을 살펴보았다.

출처 : IAEA 2024 보고서를 직접 가공

우선 세대별 잔여 수명 현황이다. 10년 이하의 수명을 가진 1세대 및 2세대가 279기로 전체의 약 67%를 차지하고 있다. 물론 오버홀 등으로 수명이 늘어날 수는 있지만, 내구연한이 다 된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 : IAEA 2024 보고서를 직접 가공

위의 자료를 보면 좀 더 디테일하게 퇴역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 1세대, 다수 내구연한이 다 된 2세대를 볼 수 있다.
 

출처 : IAEA 2024 보고서를 직접 가공

해당 자료를 살펴보면, 강대국이라고 볼 수 있는 나라들(미국, 프랑스, 캐나다, 러시아, 일본 등)의 원자력 발전소는 내구연한이 다된 발전소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 미국, 그리고 트럼프 입장에서 중요한 원자력발전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장기적으로 차세대 원자력 발전소에 투자할 것이라는 판단을 했다. 그렇다면, 3.5세대 및 4세대 그리고 SMR에 투자 및 연구개발 중인 회사의 주식이 미래 먹거리 주식이 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2. SMR 연구개발 동향 

출처 : GPT 요약

SMR( Small Modular Reactor )은 3.5세대 이후 도입된 개념으로 기존의 대형 원자로를 모듈형으로 축소시킨 것으로 경제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 대형 원자로에 비해 강점을 보이는 기술이다.

현재 SMR은 3.5세대(3세대)와 4세대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면 대형 원자로와 동일하게 3세대는 물을 주요 냉각재로 사용하고, 4세대는 기타 다른 물질로 냉각을 한다.
 

3-3. 시장 규모 분석

출처 : Zion Market Research

Zion Market Research의 조사에 따르면, 연 27.5% 정도 SMR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가 된다. 

출처 : APEC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추가적으로 에너지에 대한 수요는 탄소 중립에 성공시 줄어든다고 예측이 되지만, 전기 발전 방식에 대한 전망도 탄소 중립을 고려하더라도 원자력 발전은 꾸준히 성장할 전망으로 보여진다. 
 
∴ 미국, 그리고 트럼프 입장에서 중요한 원자력발전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장기적으로 차세대 원자력 발전소에 투자할 것이라는 판단을 했다. 그렇다면, 3.5세대 및 4세대 그리고 SMR에 투자 및 연구개발 중인 회사의 주식이 미래 먹거리 주식이 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장에 대한 파이는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에 원자력 발전 시장에 대한 장기적인 성장동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4. 경쟁사 대비 분석

 
구분 OKLO 뉴스케일파워 테라파워
원자로 크기 초소형 (1.5MWe) 중형 (77MWe 모듈) 중대형 (345MWe 이상)
연료 재활용 사용 후 핵연료 재활용 기존 핵연료 사용 고농축 우라늄 및 사용 후 핵연료 활용
냉각 방식 고체 및 액체 금속 냉각 물 기반 자연 순환 냉각 소듐 냉각
주요 타겟 시장 AI 데이터센터, 특수 목적 전력 공급 전력망, 수소 생산, 담수화 대규모 전력망, 재생에너지 통합
설립연월 2013년 2007년 2008년
상장일 2024년 5월 10일 (SPAC 합병) 2022년 5월 3일 (NYSE 상장) 비상장
직원 수 (대략) 약 50~150명 약 500명 약 800명
시가총액 58.31억 59.37억 비상장
상업화 시점 2027년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617046638954520&mediaCodeNo=257 
2029년 (루마니아 등)
https://greenium.kr/news/31775/
2030년대 초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8629
주요 투자자 민간 투자 및 Lightbridge Corporation 미국 에너지부(DOE) 빌 게이츠, 미국 에너지부(DOE)

오클로의 주요 경쟁사로는 테라파워(비상장)과 뉴스케일파워(SMR) 두 회사를 꼽을 수 있다.
 
1) 테라파워
 
 - 오클로와 비교해보았을 때, 같은 4세대 원자로이기 때문에 오클로가 주장하는 기술의 실현 가능성을 볼 수 있다.
 - 다만, 오클로는 초소형, 테라파워는 중대형이기 때문에 목적/수요층은 어느정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트럼프 당선으로 인해 '넷 제로' 기조가 축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원자력 정책에 대해서만은 NRC 현대화(4세대 원전 도입 유연화), 기존 원전 지원, SMR 투자 등 긍정적으로 보여지는데, 현재 부지(NRC 허가 신청 후 승인 기다리면서 부지 미리 만들어 놓음)를 보면 일반적인 SMR보다는 중형 4세대 원자력 발전소로 보여진다. 테라파워는 테라파워대로, SMR은 SMR대로 전체 생태계의 발전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2) 뉴스케일파워(SMR)
 - 티커답게 가장 SMR에 대한 역사가 길며, SMR 기술 개발 중인 NRC(The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의 승인을 받은 유일한 회사이다.
 - 다만, 기술적 역량을 증명하는 것에는 성공했지만, 과도한 사업비로 인해 상업화 진행(CFPP)이 무산되면서 수익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 상태이다. (매출은 발생 중)
 - 오클로 입장에서도 기술적 역량 증명에 성공하더라도, 뉴스케일파워와 같이 수익성에 대한 증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적어도 이는 2026년은 되어야 알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3) 오클로
 - 오클로는 NRC 승인 시도를 했다가, 2022년에 NRC에 승인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고 2025년 중으로 NRC에 다시 COLA
COLA(Combined License Application)을 제출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기술 승인으로 봤을 때는 가장 느린 수준이다.
 - 다만, 트럼프 2기 때 에너지 장관으로 크리스 라이트(전 오클로 사외이사)가 지명됨에 따라 정치적으로 빠른 승인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 주장하는 바로는  가장 작은 원전이며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거점에 바로 지을 수 있다고 하며, 송전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가장 적은 기업으로 예상된다. 추가적으로 핵폐기물 재활용이 가능하고 반감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유망하다. (다만 NRC 승인/상용화 후에 이를 증명할 수 있다.)
 - 이전에 수익이 없고 체결된 계약이 전부 MOU이기 때문에 확정된 미래 수익도 없는 상태이다.
 
 ∴ 오클로는 타 기업과 차별점이 있으나, NRC 승인 및 상용화가 가장 중요한 쟁점이다. 이것 없이는 아무것도 논할 수 없는 상황.



5. 결론

오클로는 SMR핵폐기물 재활용이라는 차별화된 기술을 보유한 유망한 기업으로, 특히 AI 데이터센터와 같은 특수 목적 전력 공급 시장을 타겟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기술적, 규제적, 상업적 리스크가 매우 크기 때문에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1. 투자 유인

가. 차별화된 기술
 - 초소형 원자로(1.5MWe): 오클로는 초소형 원자로를 개발 중으로, 기존 대형 원자로 대비 설치와 운영이 용이하며, 송전 손실 감소와 같은 장점이 있다.
 - 핵폐기물 재활용: 사용 후 핵연료를 재활용하여 핵폐기물 문제를 줄이고, 반감기를 단축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 이는 기존 원자력 발전의 주요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나. AI 및 데이터센터 시장과의 연계
 - AI와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오클로의 초소형 원자로는 이러한 특수 목적 시장에 적합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 OpenAI가 오클로에 투자(2.6% 지분)한 점은 AI와 원자력의 시너지를 기대하게 만든다.
 
다. 정치적 지원 가능성
 - 트럼프 행정부 2기에서 NRC(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 개혁과 4세대 원자로 도입을 지원할 가능성이 높다.
 -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 장관(DOE)으로 전 오클로 사외이사가 지명될 가능성이 있어, 규제 승인 과정이 가속화될 수 있다.
 
라. 시장 성장 가능성
 - SMR 시장은 연평균 27.5% 성장할 것으로 예상
- 전 세계적으로 기존 원자력 발전소의 수명이 다해가고 있으며, 차세대 원자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2. 투자 리스크

가. NRC 승인 실패 이력
 - 오클로는 2022년 NRC 승인 요청이 거절된 이력이 있으며, 2025년에 다시 COLA(Combined License Application)를 제출할 계획
 - NRC 승인은 원자력 기업의 상업화에 필수적이며, 승인 실패 시 사업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이 있다.
 
나. 상업화 불확실성
 - 오클로는 아직 매출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체결된 계약도 대부분 MOU(양해각서) 수준으로, 확정된 수익원이 없다.
 - 상업화 목표 시점(2027년)이 지나치게 낙관적일 수 있으며, 기술적, 규제적, 경제적 장애물이 상존한다.
 
다. 재무적 불안정성
 - 오클로는 2024년 5월 SPAC 합병을 통해 상장했으나, 현재까지 매출이 없고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 중이다.
 - 연구개발비와 운영비는 증가하고 있으나, 자금 조달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재무적 압박이 심화될 수 있다.
 
라. 경쟁사 대비 열위
 - 뉴스케일파워는 NRC 설계 인증을 받은 유일한 SMR 기업으로, 기술적 신뢰도가 높다.
 - 테라파워는 빌 게이츠의 지원을 받으며, 중대형 원자로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
 - 오클로는 기술적, 상업적 성과에서 경쟁사 대비 뒤처져 있으며, 시장 점유율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마. 정치적 리스크
 - 트럼프 행정부의 지원 가능성은 긍정적이지만, 정치적 환경 변화(예: 정권 교체)로 인해 정책적 지원이 약화될 가능성도 있다.

3. 투자 전략 및 결론

단기 투자 : 오클로는 단기적으로 매출이 없고, NRC 승인 및 상업화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단기 투자로는 부적합
장기 투자 : 고위험-고수익 투자: 오클로는 SMR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핵폐기물 재활용 기술이라는 차별화된 강점을 보유하고 있으나, NRC 승인 및 상업화 성공 여부가 불확실하다.
 - 장기적으로 SMR 시장이 성장하고, 오클로가 NRC 승인을 획득하며 상업화에 성공할 경우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최종 결론

오클로는 고위험-고수익 투자처로, SMR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핵폐기물 재활용 기술이라는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NRC 승인 실패 이력, 상업화 불확실성, 재무적 불안정성 등으로 인해 리스크가 매우 높다.
따라서, 장기적 관점에서 소액 투자를 고려할 수 있으나, 투자 비중을 제한하고, 뉴스케일파워(SMR)와 같은 대안 투자처를 함께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클로의 성공 여부는 2025년 NRC 승인 결과와 2027년 상업화 달성 여부에 달려 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